유용한 정보

🌍2025 “개발협력, 한국이 주도합니다!”제4차 개발재원총회에서 빛난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의 국제무대 활약기! 🌐

넌 계획이다 있구나! 2025. 7. 4. 10:53
반응형

 

 

📌 기간: 2025년 6월 30일(월) ~ 7월 3일(목)
📍 장소: 스페인 세비야
👤 참석자: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및 1만여 명의 국제 사회 리더들


🧭 10년 만의 귀환, 왜 중요할까?

스페인 세비야에서 개최된 **제4차 개발재원총회(FfD: Financing for Development)**는 무려 10년 만에 돌아온 대형 국제 회의였습니다.

유엔과 스페인 정부가 공동 주최한 이번 총회에는 전 세계 193개국 대표단, 국제기구, 시민사회, 학계, 민간 부문까지 약 1만 명이 참석해 글로벌 개발재원의 향방을 논의했죠.

이 회의의 핵심 키워드는 바로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.
빈곤, 기후위기, 질병, 교육, 성평등 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누가, 어떻게, 얼마를, 무엇에 투자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자리였답니다.


🇰🇷 한국의 메시지: “우리는 선도국가입니다!”

7월 3일, 총회 기조발언자로 나선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은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습니다.

🎤 그녀의 주요 발언을 정리하면:

  • “10년 만의 총회, 지금이 행동할 때입니다.”
  • “복합위기에 맞서 연대와 협력의 정신으로 SDGs를 지지합니다.”
  • “과거 수원국이었던 한국이 지금은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한 경험을 공유합니다.”

이는 단순한 연설을 넘어, 한국이 지식 공유, 규범 창출, 정책 확산에까지 기여할 수 있는 선도국가로서의 위상을 보여준 순간이었습니다.


💡 핵심 키워드: ‘개발효과성’(Development Effectiveness)

한국이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중시하는 핵심 규범은 바로 **‘개발효과성’**입니다.

이번 총회 결과문서인 **「Compromiso de Sevilla」(세비야 선언)**에도 다음의 한국 주도 원칙 4가지가 명확히 반영되었습니다:

  1. 국가 주인의식 (Ownership)
  2. 🎯 결과 중심 접근 (Focus on Results)
  3. 🤝 포괄적 파트너십 (Inclusive Partnerships)
  4. 📊 투명성 및 상호책임성 (Transparency & Mutual Accountability)

이는 한국의 개발철학이 이제는 글로벌 규범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라 할 수 있겠죠!


🌐 주요 인사들과의 면담… 협력의 물꼬를 트다

김 차관은 총회 참석 중 다양한 국제기구 수장각국 고위 인사들과도 활발하게 교류했습니다:

🤝 국제기구 리더들과의 만남

  • 🧍‍♀️ 에이미 포프 (IOM 사무총장)
  • 🧍‍♂️ 카스텐 스타우어 (OECD DAC 의장)
  • 🧍‍♂️ 리 준화 (유엔 경제사회국 사무차장)
  • 🧍‍♂️ 김상협 (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총장)

한국의 신정부 개발협력 방향, 그리고 지속가능한 글로벌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습니다.

🇪🇸🇯🇵 주요국 외교당국과도 소통

  • 디에고 마르티네스 스페인 외교차관
  • 마쓰모토 히사시 일본 외무성 정무관

한-스페인, 한-일 간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양자 협력 강화도 주요 의제였죠!


🗓️ 다음 스텝은?

9월, 한국에서 또 다른 글로벌 무대가 펼쳐집니다!

오는 **9월 개최되는 제8차 부산글로벌파트너십포럼(GPEDC)**이 그 무대입니다.
이 포럼은 개발효과성을 위한 글로벌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한국 주도 이니셔티브로서,
이번 세비야 총회의 정신을 부산으로 이어갈 플랫폼이 될 예정입니다.


🧠 총정리: 한국의 국제개발협력, 어디까지 왔나?

구분내용
회의명 제4차 개발재원총회 (4th FfD Conference)
기간/장소 2025.6.30 ~ 7.3 / 스페인 세비야
참석자 전 세계 대표단, 국제기구, 시민사회 등 약 10,000명
한국 대표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
주요 메시지 SDGs 지지, 개발효과성 강조, 글로벌 연대 촉구
후속 행사 2025년 9월 부산 글로벌파트너십 포럼 개최 예정
 

💬 마무리 코멘트

한국은 더 이상 원조를 받던 나라가 아닙니다.
도움을 주는 나라, 국제규범을 만드는 나라, 그리고 협력의 리더십을 실천하는 나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.

제4차 개발재원총회에서의 김진아 차관의 활약은
한국의 개발협력 외교가 세계 무대에서 얼마나 성숙했는지를 상징하는 한 장면이었습니다.

9월 부산에서 열릴 글로벌파트너십포럼에서도
한국의 개발협력 비전과 실행력, 그리고 리더십을 다시 한 번 기대해 봅니다. 🌱🌏


📌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
반응형